
오픈소스와 소프트웨어 산업, 상생의 경제학 [오픈소스의 역할과 균형적 산업 발전]
- 원서명The Comingled Code (ISBN 9780262014632)
- 지은이조쉬 러너, 마크 솅커맨
- 옮긴이박지유
- ISBN : 9788960774346
- 22,000원
- 2013년 05월 29일 펴냄 (절판)
- 페이퍼백 | 340쪽 | 152*224mm
- 시리즈 : acornLoft
판매처
- 현재 이 도서는 구매할 수 없습니다.
책 소개
오픈소스는 자발적인 개인 개발자가 주도한다? 오픈소스와 사유(私有, proprietary) 소프트웨어 세계는 다른 세상이다? 오픈소스는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므로, 정부는 정책적으로 오픈소스를 지원해야 한다? 하버드의 전문가들이 행한 15개국의 방대한 소프트웨어 사용자와 개발사 조사 결과를 근거로 오픈소스에 관한 다양한 통념들에 대한 진실을 파헤친다. 또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사유 소프트웨어의 상생과 공존을 통해 소프트웨어 산업의 균형적 발전을 이룰 방법은 없는지에 관해 통찰하고 제언한다.
[ 이 책에 쏟아진 각계의 찬사 ]
오픈소스 대 사유(私有) 소프트웨어를 다룬 책들과 달리, 이 책은 근거 없는 주장, 요란함과 과장을 피하면서 실제적인 근거, 신중한 분석, 공평한 논의를 제공한다. 오픈소스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읽어볼 만한 책이다.
- 할 배리언(Hal Varian), 구글 수석 경제학자
소프트웨어는 어떻게 국가 경제와 기업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가? 정부는 사유 소프트웨어보다 오픈소스를 장려해야 하는가? 기업들은 둘 사이에서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오픈소스와 사유 소프트웨어의 혼용은 어떻게 진화할 것인가? 이처럼 소프트웨어 산업에 관련된 여러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있다면, 소프트웨어 경제학과 실증적 산업 조직의 두 대가가 저술한 이 책이 독창적이고 엄격하면서도 놀라울 정도로 이해하기 쉬운 분석을 제공할 것이다. 소프트웨어 산업에 대해 관심을 가진 모든 연구자, 학생, 현장 전문가들의 필독서다.
- 쟝 티롤(Jean Tirole) 툴루즈 경제대학원
오픈소스 운동이 한때의 유행이라고 생각했던 사람들은 모두 이 책을 읽어봐야 한다. 혁신과 특허정책에 대한 두 명의 전문가가 집필한 이 책은 기업과 공공 당국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수용해 왔는지, 그 범위와 복잡성에 대해 중요한 근거를 제시한다. 독자는 어떤 국가와 어떤 유형의 기업이 오픈소스를 가장 집중적으로 사용하는지 알게 될 것이며, 오픈소스 코드가 사유 코드나 제품들과 혼용되는 정도를 보고 놀랄지도 모른다. 저자들이 제공하는 풍부한 토대는 이 주제에 대해 또 한 번 깊은 생각을 불러일으킨다.
- 수잔 스코치머(Suzanne Scotchmer)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Innovation and Incentives』의 저자
기술 분야에서 혁신을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동시에 그런 혁신의 열매가 널리 공유되도록 담보하는 제도와 법률을 설계하는 일은 매우 큰 도전이다. 종종 이 두 목표는 양립이 불가능해 보인다.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오픈소스 개발의 신봉자들은 그러한 갈등관계를 해결했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부수적인 경제적•사회적 이득을 성취했다고 주장한다. 과연 그러한가? 이 책은 그런 중대한 질문과 관련된 깊이 있는 지식과 신중한 분석을 선사한다. 이 책이 제공하는 해답은 모든 프로그래머, 비즈니스 리더, 정책 담당자가 귀를 기울일 만한 가치가 있다.
- 윌리엄 피셔(William Fisher) 하버드대학교 지적 재산권법 윌머해일(WilmerHale) 교수이자 버크만 인터넷과 사회 센터 소장
[ 출판사 서평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논의는 매번 소모적인 양상으로 흘러가곤 한다. 지지자들은 열성적으로 오픈소스의 장점을 부르짖는 반면, 비판자들은 그 영향을 매도한다. 이런 논쟁에는 오픈소스가 소비자, 기업 및 전반적인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엄격한 경제적 분석과 체계적인 경제적 근거가 결핍돼 있다. 이 책은 그런 빈 자리를 채워준다. 『오픈소스와 소프트웨어 산업, 상생의 경제학』에서 조쉬 러너와 마크 솅커맨은 대규모의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오픈소스와 사유(私有) 소프트웨어가 때로는 예기치 못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는 점을 보여주며, 이런 통찰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다양한 발전 단계에 있는 일련의 국가들에서 조사된 새로운 데이터는 오픈소스와 사유 소프트웨어의 혼용(混用)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기업들은 사유 소프트웨어를 판매하면서 오픈소스에 기여하고, 사용자들은 광범위하게 둘을 섞어 쓴다. 러너와 솅커맨은 경제발전의 촉진에 있어 소프트웨어가 다른 기술들과 어떻게 다른지, 개인과 기업이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도록 이끄는 것이 무엇인지, 개발자들과 사용자들이 두 가지 부류의 소프트웨어 사이의 상충관계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정부 정책을 통해 오픈소스가 사유 소프트웨어와 효과적으로 경쟁하고 경제발전에 기여하게 할 수 있는지를 논한다.
[ 이 책에 쏟아진 각계의 찬사 ]
오픈소스 대 사유(私有) 소프트웨어를 다룬 책들과 달리, 이 책은 근거 없는 주장, 요란함과 과장을 피하면서 실제적인 근거, 신중한 분석, 공평한 논의를 제공한다. 오픈소스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읽어볼 만한 책이다.
- 할 배리언(Hal Varian), 구글 수석 경제학자
소프트웨어는 어떻게 국가 경제와 기업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가? 정부는 사유 소프트웨어보다 오픈소스를 장려해야 하는가? 기업들은 둘 사이에서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오픈소스와 사유 소프트웨어의 혼용은 어떻게 진화할 것인가? 이처럼 소프트웨어 산업에 관련된 여러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있다면, 소프트웨어 경제학과 실증적 산업 조직의 두 대가가 저술한 이 책이 독창적이고 엄격하면서도 놀라울 정도로 이해하기 쉬운 분석을 제공할 것이다. 소프트웨어 산업에 대해 관심을 가진 모든 연구자, 학생, 현장 전문가들의 필독서다.
- 쟝 티롤(Jean Tirole) 툴루즈 경제대학원
오픈소스 운동이 한때의 유행이라고 생각했던 사람들은 모두 이 책을 읽어봐야 한다. 혁신과 특허정책에 대한 두 명의 전문가가 집필한 이 책은 기업과 공공 당국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수용해 왔는지, 그 범위와 복잡성에 대해 중요한 근거를 제시한다. 독자는 어떤 국가와 어떤 유형의 기업이 오픈소스를 가장 집중적으로 사용하는지 알게 될 것이며, 오픈소스 코드가 사유 코드나 제품들과 혼용되는 정도를 보고 놀랄지도 모른다. 저자들이 제공하는 풍부한 토대는 이 주제에 대해 또 한 번 깊은 생각을 불러일으킨다.
- 수잔 스코치머(Suzanne Scotchmer)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Innovation and Incentives』의 저자
기술 분야에서 혁신을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동시에 그런 혁신의 열매가 널리 공유되도록 담보하는 제도와 법률을 설계하는 일은 매우 큰 도전이다. 종종 이 두 목표는 양립이 불가능해 보인다.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오픈소스 개발의 신봉자들은 그러한 갈등관계를 해결했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부수적인 경제적•사회적 이득을 성취했다고 주장한다. 과연 그러한가? 이 책은 그런 중대한 질문과 관련된 깊이 있는 지식과 신중한 분석을 선사한다. 이 책이 제공하는 해답은 모든 프로그래머, 비즈니스 리더, 정책 담당자가 귀를 기울일 만한 가치가 있다.
- 윌리엄 피셔(William Fisher) 하버드대학교 지적 재산권법 윌머해일(WilmerHale) 교수이자 버크만 인터넷과 사회 센터 소장
[ 출판사 서평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논의는 매번 소모적인 양상으로 흘러가곤 한다. 지지자들은 열성적으로 오픈소스의 장점을 부르짖는 반면, 비판자들은 그 영향을 매도한다. 이런 논쟁에는 오픈소스가 소비자, 기업 및 전반적인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엄격한 경제적 분석과 체계적인 경제적 근거가 결핍돼 있다. 이 책은 그런 빈 자리를 채워준다. 『오픈소스와 소프트웨어 산업, 상생의 경제학』에서 조쉬 러너와 마크 솅커맨은 대규모의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오픈소스와 사유(私有) 소프트웨어가 때로는 예기치 못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는 점을 보여주며, 이런 통찰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다양한 발전 단계에 있는 일련의 국가들에서 조사된 새로운 데이터는 오픈소스와 사유 소프트웨어의 혼용(混用)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기업들은 사유 소프트웨어를 판매하면서 오픈소스에 기여하고, 사용자들은 광범위하게 둘을 섞어 쓴다. 러너와 솅커맨은 경제발전의 촉진에 있어 소프트웨어가 다른 기술들과 어떻게 다른지, 개인과 기업이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도록 이끄는 것이 무엇인지, 개발자들과 사용자들이 두 가지 부류의 소프트웨어 사이의 상충관계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정부 정책을 통해 오픈소스가 사유 소프트웨어와 효과적으로 경쟁하고 경제발전에 기여하게 할 수 있는지를 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