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오픈소스와 오픈스탠더드로 알아보는]
SDN과 NFV

  • 지은이SDN/NFV포럼
  • ISBN : 9788960778467
  • 35,000원
  • 2016년 05월 26일 펴냄 (절판)
  • 페이퍼백 | 488쪽 | 188*250mm
  • 시리즈 :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판매처

  • 현재 이 도서는 구매할 수 없습니다.

책 소개

요약

SDN과 NFV 기술 모두를 자세히 다루는 국내 최초 유일한 도서다. SDN과 NFV를 구성하는 최신 표준기술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을 뿐만 아니라 오픈소스 기반의 SDN 플랫폼인 오픈데이라이트와 ONOS를 비교해 설명하고, 오픈소스 NFV 플랫폼인 OPNFV도 소개한다. 이 책은 국내 산학연 최고의 SDN 전문가와 NFV 전문가가 만나 공동 집필한 책으로 국내 현황을 더욱 잘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 책의 특징

SDN과 NFV 기술 모두를 자세히 다루는 국내 최초 / 유일 도서

SDN과 NFV를 구성하는 최신 표준기술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설명

오픈소스 기반의 SDN 플랫폼인 오픈데이라이트와 ONOS를 비교하여 설명

오픈소스 NFV 플랫폼인 OPNFV 소개

국내 산학연 최고의 SDN 전문가와 NFV 전문가가 만나 공동 집필

이 책의 대상 독자

SDN과 NFV 분야에 처음 입문하려는 개발자

SDN과 NFV를 기술적 관점에서 폭넓게 공부하고 싶은 엔지니어

오픈데이라이트, ONOS, OPNFV 등 오픈소스로 SDN/NFV 기술을 개발 중인 연구자

기타 오픈네트워킹이나 오픈소스, 오픈스탠더드 기술에 관심 있는 독자

이 책의 구성

이 책은 총 6부 21장과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흔히 어려운 기술로 생각되는 SDN과 NFV, 이 두 기술을 오픈소스와 오픈스탠더드를 통해 좀 더 알기 쉽게 설명하려 노력했다.

1부, 'SDN과 NFV에 대한 이해'에서는 SDN과 NFV에 대한 기본 정의를 알아보고, 큰 그림을 살펴 본 후, 통신 사업자 관점의 SDN/NFV 기술과 세계 시장 전망, 도입 현황을 살펴본다.

2부, 'SDN 오픈소스와 오픈스탠더드'는 2장부터 8장까지 총 7개 장으로 구성된다. 2장에서 현재 대표적인 SDN 오픈소스 플랫폼인 오픈데이라이트와 ONOS에 대해 비교 설명하고, 기타 컨트롤러 플랫폼들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다. 3장, 4장에서는 SDN를 위해 오픈스탠더드 관점에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사우스바운드 프로토콜들과 노스바운드 인터페이스들을 설명한다. 5장에서는 Yang 데이터 모델링을 살펴보고, 6장에서는 SDN 제어를 위한 분산 구조와 클러스터링에 대한 이슈를 살펴본다. 2부 마지막 장인 7장과 8장에서는 각각 다양한 SDN 검증 기술과 보안 이슈를 살펴본다.

3부, 'NFV 오픈소스와 오픈스탠더드'는 총 9장부터 15장까지 총 7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9장에서는 ETSI NFV에서 적용되고 있는 NFV의 개념 구조와 세부 주요 기술을 설명하고, 10장에서는 NFV 표준화를 담당하는 ETSI NFV ISG에서 개발 중인 표준 프레임워크 내용과 이에 따른 인터페이스에 대해 자세히 기술한다. 11장에서는 NFV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MANO) 기술을 소개한다. 또한 12장에서는 OPNFV를 중심으로 NFV의 성능 개선과 밀접하게 연계된 인텔의 DPDK 관련 몇 건의 구현 결과를 사례 중심으로 설명한다. 13장은 국내 산업체에서 제공하는 VNF 구현 기술과 사례를 알아보며, 14장에서는 IETF에서 표준화 중인 SFC(서비스 기능 체이닝) 기술을 살펴본다. 3부의 마지막 장인 15장에서는 NFV PoC(Proof of Concept) 사례와 유즈케이스를 정리해 제공한다.

4부, 'SDN과 NFV의 결합'은 16장 한 개의 장으로 구성되는데, 지금까지 소개한 SDN과 NFV가 함께 사용되는 대표적인 사례로서 SDN과 NFV가 결합된 모델을 진화 단계별로 정의하고, 각 단계의 주요 특징과 관련된 연구 활동을 소개한다. 이후 SDN과 NFV 결합과 관련된 구체적인 형상을 제시하는 ETSI의 표준 문서와 FP7 Unify 프로젝트, ONF L4-L7 프로젝트의 주요 특징을 비교한다.

5부, 'SDN/NFV의 새로운 분야와 서비스'는 17장부터 20장까지 총 4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17장에서는 SDN의 새로운 분야와 서비스로 IoT를 위한 SDN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위해 연구 개발 중인 대표적인 프로젝트로 오픈데이라이트의 IoTDM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18장에서는 대표적인 보안 기술인 I2NSF를 소개하고, SDN과 I2NSF를 연결하고 이용하는 SDN 기반 보안 서비스를 알아본다. 19장에서는 SD-WAN의 두 가지 큰 범주인 공용 SD-WAN과 사설 SD-WAN의 기술 동향과 활용 사례를 알아본다. 5부의 마지막 장인 20장에서는 T-SDN을 위한 유즈케이스와 표준화 동향 등을 살펴본다.

6부, '마무리하며'는 21장 한 개의 장으로 구성되는데, SDN과 NFV을 통해 바라볼 수 있는 시사점들을 정리해 소개한다.

부록에서는 각각 국내 SDN/NFV 연구망 구축 현황으로 KREONET-S를 소개하고, 국내 SDN/NFV 표준화 현황으로 TTA WG2201과 WG2202 내에서 개발한 표준들을 간략히 소개하며 이 책을 마무리한다.

상세 이미지

저자/역자 소개

지은이의 말

SDN과 NFV 기술은 네트워크 분야의 가장 핫한 키워드들이다. 두 기술의 공통점은 하드웨어로 고정화된 종래의 네트워크를 소프트웨어처럼 프로그래밍하듯 유연하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기술 흐름은 오픈소스 열풍과 결합해 네트워크 분야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쉽게도 오픈플로우 같은 몇 권의 SDN 기술 입문서 외에는 SDN, NFV 두 기술을 함께 균형 잡힌 시각으로 폭넓게 다루는 기술 입문서가 없어 처음 두 기술을 함께 공부하는 학생이나 기술 개발에 관심 있는 개발자들은 외국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사이트들이나 표준 규격들을 직접 하나하나 찾아가며 공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을 처음 기획할 당시에는 SDN/NFV포럼에서 요청을 받아 간단한 기술백서 정도만을 제작하고 배포할 생각으로 출발했다. 그러나 원고 기획과 목차를 구성해 나가면서 단순한 백서 정도의 기술 모음보다는 SDN의 여러 표준기구와 오픈소스 프로젝트별 관점과 지향점들을 분석해 이해도를 넓히고, ETSI NFV 그룹의 최신 이슈들과 구현 가능한 표준 규격 내용까지 소개하기 위해서는 쉽지 않더라도 완성된 하나의 책으로 구성해 출판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모아 이 책을 출간하게 됐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가장 중요했던 점은 몇 사람의 전문가만으로는 이런 방대한 범위의 기술을 모두 커버하는 원고를 작성하기란 쉽지 않다는 것이며, 따라서 이 책은 SDN/NFV포럼 표준화 워킹그룹 외에도 TTA 미래인터넷프로젝트그룹 및 대학에서 활동하는 해당 분야의 국내 최고 전문가 총 25명이 흔쾌히 책 작성에 참여해 이와 같이 성공적인 책 출간이 가능할 수 있었다.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 번 모든 저자와 인텔 원고의 감수를 맡아주신 인텔코리아 전문가들에게 감사 말씀을 드린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통해 SDN과 NFV 기술을 공부하는 독자들에게 두 기술의 이해도를 넓히고 더욱 관심을 끌어올리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대표저자 신명기 / SDN/NFV포럼 표준화워킹그룹 의장, TTA 미래인터넷프로젝트그룹 의장

지은이 소개

SDN/NFV포럼

SDN/NFV포럼(http://www.sdnnfv.org)은 산•학•연•관 합동 포럼으로, 2014년 10월 1일 창립돼 SDN/NFV 관련 정책 수립, 핵심 기술개발 및 표준화, 유망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소프트웨어 기반의 네트워크 인프라 비전을 제시하고, 산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의 장 마련을 목적으로 현재까지 활발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SDN/NFV포럼은 총회, 운영위원회, 4개 분과위원회(정책 협력, 대외 협력, 기술표준, 서비스PoC), 2개 WG(표준화, 5G Core Network), 사무국(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 등으로 구성돼 운영 중이며, 기관 회원 27개사(16개 운영위원사, 11개 일반사)로 통신사업자, 제조업체, 연구소 및 대학 등에서 참여해 SDN/NFV 생태계 환경 조성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포럼의 성공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SDN/NFV 기술 연구’, ‘네트워크 산업 활성화 촉진’, ‘국가 정책 수립 지원’, ‘대외 협력 및 홍보 강화’라는 4대 추진 전략을 갖고 ICT 기반의 창의사회 조기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신명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네트워크표준연구실장으로 있으며, UST 정보통신네트워크 공학과 겸임교수와 TTA PG220(미래인터넷)과 SDN/NFV포럼 표준화 WG 의장을 맡고 있다. 이 책의 대표저자로 기획 및 전체 구성을 맡아 작업했다.

이종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준연구센터 네트워크표준연구실에 근무 중이며, SDN 및 NFV 기술 분야 R&D에 참여하고 있다. ETSI NFV 국제 표준화 단체 및 TTA PG220 기술위원회에서 국내외 관련 기술 표준화 활동을 하고 있다.

백은경

KT 융합기술원 인프라연구소에서 SDN/NFV 분야의 R&D를 담당하고 있다. IETF, ETSI NFV 등 SDN/NFV 분야의 표준화 그룹과 TTA PG220 부의장 활동을 통해 국내 외 기술 표준화 및 적용에 기여하고 있다.

이병선

교환기, 소프트스위치, IMS 등 주요 통신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과 통신서비스 플랫폼의 개방화 기술 개발을 주도하면서 국내외 관련 포럼 운영위원과 표준 전문가 역할을 수행했다. 현재는 SDN/NFV 기반의 차세대 통신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발 중이고, SDN/NFV포럼의 기술표준분과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백상헌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에서 학사, 박사과정을 마치고 캐나다 워털루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지냈다. 2007년부터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13년에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방문 교수로 일했다. 현재는 한국통신학회 이사와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및 「IET Communications」에서 편집위원, 그리고 「IEEE Transactions on Emerging Topics in Computing」의 초청 편집위원을 역임하고 있다.

김동균

2015년에 국내 최초로 분산형 ONOS 기반의 SD-WAN을 설계/구축했고, 2016년에 아시아 연구망 중 처음으로 5개 대륙 중심의 글로벌 SDN 구축에 참여했으며, 관련 국제공동시연을 수행(ONS2016)했다. 현재 KISTI의 책임연구원으로서 우리나라 국가연구망인(KREONET)의 소프트웨어화를 위해 KREONET-S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김은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에서 정보통신네트워크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석박사 통합과정 학생으로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표준연구실에 근무하고 있다.

최미정

이화여대 컴퓨터공학과에서 학부를 마치고, 포항공대 컴퓨터공학과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공은 컴퓨터 네트워크 및 서비스 관리로, SDN/NFV에 대한 정보 모델링 및 관리 방안, 관리 시스템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 강원대 컴퓨터과학전공 부교수로 재임 중이다.

윤현식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과정을 마치고, LG정보통신 선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책임연구원으서 네트워크 분야의 기술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권태현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광인터넷연구부 광전달망 연구실에서 ‘광-회선-패킷 레이어 통합 제어 관리 기술’ 연구개발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김태완

LG유플러스에서 모바일 IP 기술 개발, 이종망 간(WiFi-CDMA EvDO) 핸드오버 기술 개발, 모바일 IPTV 기술 개발 등을 수행했으며, 최근에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동향 및 국책 과제를 통한 기술 개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홍용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준연구센터에서 전문위원으로 재직 중이며, IETF, ITU-T에서 IoT 관련 표준문서 에디터를 맡고 있다. 국내 TTA 사물 인터넷 네트워킹 프로젝트 그룹(SPG12) 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윤빈영

1991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 입사한 이후 TDX 교환기/ATM 교환기/MPLS 라우터의 정합 기술 개발, 네트워크 프로세스 기술 및 응용 기술 개발, 그리고 10G PON 기술 개발을 수행했다. 최근에는 전송 장비를 SDN 기술로 제어하는 Transport SDN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남기혁

고려대 컴퓨터학과에서 학부와 석사 과정을 마친 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선임 연구원으로 재직하던 중 네트워크 제어 및 검증 솔루션 회사인 ㈜프리스티를 창업했다. 관심 분야는 SDN과 IoT를 비롯한 네트워크 제어 및 응용 기술이다. 에이콘출판사에서 출간한 『GWT 구글 웹 툴킷』(2008), 『해킹 초보를 위한 USB 공격과 방어』(2011), 『자바 7의 새로운 기능』(2013), 『iOS 해킹과 보안 가이드』(2014), 『Neutron 오픈스택 네트워킹』(2015), 『실전 IoT 네트워크 프로그래밍』(2015) 등을 번역했다.

이승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준연구센터 네트워크표준연구실에 근무 중이며, SDN/NFV, 5G 기술 분야 R&D에 참여하고 있다. IETF, ITU-T SG13, 3GPP SA2 국제 표준화 단체 및 TTA PG220 기술위원회에서 국내외 관련 기술 표준화 활동도 하고 있다.

정재훈

차량 네트워킹 및 IoT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연구원, 브로케이드Brocade의 S/W 엔지니어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IETF 인터넷 표준화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김형식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마치고,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지냈다.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보안공학 연구실을 이끌고 있다.

박정수

IETF RFC4489, ITU-T Y.2015, Y.2051, Y.2057, Y.2252, Y.4413, F.747.6 등의 표준을 개발한 바 있으며, 지금은 SDN과 사물 인터넷 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근무하면서 IPv6, 보안, SDN/NFV, IoT 분야에서 국제 표준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성원

현재 경희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박사과정에서 이동통신을 전공한 후 (주)삼성전자에서 3/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장비와 서비스를 개발했다. 현재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기반의 무선 네트워킹 기술로 국내 생태계를 구축하는 작업을 하고 있으며, 누구나 원하는 통신을 무료로 자유롭게 사용하는 부분에 관심이 많다.

김태연

ETSI NFV ISG에서 ‘CDN 서비스 가상화’ 주제로 PoC가 채택돼 CES2015에서 해당 기술에 대한 수행 검증을 완료했으며,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클라우드 NFV 플랫폼 개발 및 표준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최윤철

충남대학교 박사 수료 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준연구센터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현재는 SDN, IoT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ODL IoTDM 커미터로 활동 중이다.

이지현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표준연구센터에서 SDN 검증 기술 개발 및 NFV Phase-2 표준 개발 과제에 참여하며, ITU-T SG13에서 SDN 관련 표준화 활동과 ETSI IFA WG에서 NFV 관련 표준화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강지양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하버드 대학교 EECS, GCT Research를 거쳐 현재 파이오링크에서 SDN 개발실장을 맡고 있다. 공학박사, 컴퓨터시스템 응용기술사, 정보시스템 수석감리원이며, 최근에는 특히 OCP(Open Compute Project Korea Community)의 창립 멤버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최영환

충남대학교 컴퓨터공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표준연구센터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현재 사물 인터넷을 위한 인터넷 기반 저전력 네트워킹에 대한 연구 이슈를 주로 다루고 있으며, 주요 국제 표준화 기구 IETF 6o WG, ITU-T SG13, ITU-T SG20, ITU-T SG17 등에서 국제표준권고안 개발 에디터로 활동 중이다.

이병윤

TMN 및 TINA, CORBA 기반 망 관리 시스템 개발과 SLA 품질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스마트 네트워킹 핵심 기술 개발인 SDN, NFV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OPNFV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다.

인텔 DPDK 부분 감수자 소개

주민규

인텔 네트워크 플랫폼 그룹(Network Platform Group) 산하 통신 인프라 디비전(Communication Infrastructure Division) 소속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 제조사/사업자들의 SDN/NFV를 위한 기술 컨설팅을 담당하고 있다.

홍희석

인텔 네트워크 플랫폼 그룹에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 통신 사업의 SDN/NFV Market Development를 담당하고 있다.

목차

목차
  • I부 SDN과 NFV에 대한 이해
  • 1장 시작하며
  • 1.1 SDN과 NFV: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라이제이션과 네트워크 DIY를 위한 수단
  • 1.2 SDN을 위한 빅픽처(ONF, IETF, ITU-T의 참조 구조)
  • 1.3 NFV를 위한 빅픽처(ETSI NFV ISG의 표준 프레임워크)
  • 1.3.1 NFV Phase-1
  • 1.3.2 NFV Phase-2
  • 1.4 통신 사업자 관점의 SDN과 NFV
  • 1.4.1 SDN/NFV 도입에 따른 이점
  • 1.4.2 SDN/ NFV 도입 모델
  • 1.4.3 SDN/NFV 개발 표준 기술 이슈
  • 1.4.4 SDN/NFV 검증 기술 이슈
  • 1.5 SDN/NFV 세계 시장과 도입 현황
  • 1.5.1 시장 동향과 전망
  • 1.5.2 도입 현황

  • II부 SDN 오픈소스와 오픈스탠더드
  • 2장 SDN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 2.1 오픈데이라이트
  • 2.1.1 오픈데이라이트의 구조와 특징
  • 2.1.2 오픈데이라이트 내 프로젝트
  • 2.1.3 오픈데이라이트 설치와 실행 방법
  • 2.2 ONOS
  • 2.2.1 ONOS의 구조와 주요 특징
  • 2.2.2 ONOS 주요 응용과 활용 사례
  • 2.2.3 ONOS 개발 현황과 릴리스 소개
  • 2.2.4 ONOS 설치와 실행 방법: 단일 인스턴스와 분산 클러스터링
  • 2.3 기타의 오픈소스 컨트롤러
  • 2.3.1 오픈소스 컨트롤러 프로젝트
  • 2.3.2 상용 컨트롤러

  • 3장 SDN 오픈스탠더드: 사우스바운드 프로토콜
  • 3.1 오픈플로우
  • 3.2 I2RS
  • 3.3 NETCONF
  • 3.4 BGP
  • 3.5 PCEP
  • 3.5.1 PCE 기반 구조와 PCEP
  • 3.5.2 PCEP 표준
  • 3.5.3 PCEP 표준 확장
  • 3.6 LISP
  • 3.6.1 구성 요소
  • 3.6.2 동작
  • 3.7 CoAP/HTTP(IoT)
  • 3.7.1 CoAP
  • 3.7.2 HTTP

  • 4장 SDN 오픈스탠더드: 노스바운드 인터페이스
  • 4.1 REST API
  • 4.1.1 기본 특징
  • 4.1.2 오픈데이라이트 REST API
  • 4.1.3 ONOS REST API
  • 4.1.4 Ryu REST API
  • 4.2 ALTO

  • 5장 YANG 데이터 모델링
  • 5.1 Yang 모듈
  • 5.2 Yang 세부 사항
  • 5.2.1 Yang Base Types
  • 5.2.2 Yang 데이터 정의
  • 5.3 Yang RFCs
  • 5.3.1 RFCs
  • 5.3.2 능동 I-D
  • 5.3.3 Related I-Ds
  • 5.4 Yang 구현물
  • 5.5 SDN 관리에 적용된 NetConf/Yang 동향
  • 5.5.1 SDN/NFV 관리에 적용되는 NetConf/Yang 표준화 단체
  • 5.5.2 NetConf/Yang을 적용한 상용 제품

  • 6장 SDN 분산 코어와 클러스터링
  • 6.1 분산형 구조와 중앙 집중형 구조
  • 6.2 고가용성을 위한 클러스터링
  • 6.3 Onix
  • 6.4 ONOS
  • 6.5 네트워크 연동
  • 6.5.1 도메인 라우팅
  • 6.5.2 QoS 관리
  • 6.5.3 IETF SDNi
  • 6.6 오픈데이라이트
  • 6.6.1 OpenDaylight

  • 7장 SDN 검증 기술
  • 7.1 배경
  • 7.2 언어와 가상화
  • 7.3 업데이트 메커니즘
  • 7.4 검증 관련 기술
  • 7.5 개발과 검증 환경, 테스팅, 시뮬레이션
  • 7.6 결론

  • 8장 SDN 보안
  • 8.1 SDN 보안 기술
  • 8.1.1 SDN 컨트롤러의 보호
  • 8.1.2 SDN 네트워크 장비의 보호
  • 8.1.3 SDN 애플리케이션의 보호
  • 8.1.4 SDN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보호
  • 8.1.5 SDN 시스템에 대한 보안 사고 기록과 복구
  • 8.1.6 소프트웨어 기반 스위칭 기술
  • 8.2 SDN 보안 기술 표준화
  • 8.2.1 ITU-T SG13 표준화
  • 8.2.2 ITU-T SG17 표준화
  • 8.2.3 IETF 표준화
  • 8.2.4 ETSI 표준화
  • 8.2.5 TTA 표준화

  • III부 NFV 오픈소스와 오픈스탠더드
  • 9장 NFV 기술 개요
  • 9.1 NFV 개념 구조
  • 9.2 네트워크 서비스와 VNF 개념
  • 9.3 네트워크 서비스의 라이프사이클
  • 9.4 VNF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 9.5 가상 자원 관리
  • 9.6 성능과 장애 관리

  • 10장 ETSI NFV 프레임워크와 표준 인터페이스
  • 10.1 NFV 프레임워크
  • 10.1.1 NFV 프레임워크의 주요 특징
  • 10.1.2 NFV 프레임워크의 핵심 개념
  • 10.2 NFV 프레임워크 구조와 기능
  • 10.2.1 기능 요소
  • 10.2.2 상호 참조점
  • 10.3 구조적 고려 사항
  • 10.3.1 Generic VNFM
  • 10.3.2 다중 VNFM
  • 10.3.3 VNF 가상 자원의 선택적 관리

  • 11장 MANO
  • 11.1 NFV 관리와 오케스트레이션의 목적과 개념
  • 11.2 NFV의 기능 구조와 기능 블록
  • 11.3 NFV-MANO 참조점
  • 11.4 인터페이스와 오퍼레이션

  • 12장 NFV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 12.1 OPNFV와 Open MANO
  • 12.1.1 OPNFV
  • 12.1.2 OpenMANO
  • 12.1.3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NFV 생태계
  • 12.2 DPDK
  • 12.3 OVS와 DPDK를 통한 SDN/NFV 구현 사례

  • 13장 VNF 구현 기술과 사례
  • 13.1 VNF 아키텍처와 인터페이스
  • 13.2 VNF 구현 기술
  • 13.2.1 가상 스위치
  • 13.2.2 DPDK
  • 13.2.3 PCI 패스스루와 SR-IOV
  • 13.2.4 소프트웨어 데이터 플레인 가속 기술
  • 13.2.5 하드웨어 오프로드 가속 기술
  • 13.3 VNF 개발 현황와 사례
  • 13.3.1 오픈소스 VNF
  • 13.3.2 국내외 상용 VNF
  • 13.4 VNF 설계 시 고려 사항

  • 14장 SFC 기술
  • 14.1 SFC의 기본 개념
  • 14.2 SFC의 특징
  • 14.3 SFC 네트워크 모델
  • 14.4 SFC 구조
  • 14.4.1 SFC 제어 평면
  • 14.4.2 SFC 데이터 평면
  • 14.5 SFC 표준화 동향

  • 15장 NFV PoC와 유즈케이스
  • 15.1 NFV PoC 목록
  • 15.2 NFV 유즈케이스
  • 15.3 유즈케이스별 PoC 분류
  • 15.4 적용 기술별 PoC 분류

  • IV부 SDN과 NFV의 결합
  • 16장 SDN x NFV
  • 16.1 SDN/NFV 결합의 필요성과 배경
  • 16.2 SDN/NFV 결합 모델의 발전 방향
  • 16.3 NFV 프레임워크에서의 ETSI SDN 활용 방안
  • 16.3.1 NFV 구조 프레임워크에서의 SDN 활용
  • 16.3.2 ETSI SDN/NFV PoC 소개
  • 16.4 FP7 Unify 프로젝트
  • 16.5 ONF의 SDN L4~L7 프레임워크

  • V부 SDN/NFV의 새로운 분야와 서비스
  • 17장 IoT를 위한 SDN 기술
  • 17.1 IoT 소개와 문제점
  • 17.2 IoT 미들웨어
  • 17.3 ODL의 IoTDM 사례

  • 18장 보안 미들박스를 위한 I2NSF
  • 18.1 I2NSF 프레임워크
  • 18.1.1 I2NSF 유즈케이스
  • 18.1.2 I2NSF를 위한 정보 모델
  • 18.2 I2NSF를 이용하는 SDN 기반 보안 서비스
  • 18.2.1 I2NSF를 이용한 SDN 기반 보안 서비스 아키텍처
  • 18.2.2 SDN 기반 보안 서비스 유즈케이스

  • 19장 WAN을 위한 분산 제어와 SDN 기술
  • 19.1 공용 SD-WAN 구조와 기술, 활용 사례
  • 19.2 사설 SD-WAN 기술과 활용 사례
  • 19.3 SD-WAN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위한 분산 제어 기술

  • 20장 T-SDN 기술
  • 20.1 T-SDN 유즈케이스
  • 20.1.1 BoD(Bandwidth on Demand)
  • 20.1.2 광 기반 가상 사설 네트워크
  • 20.1.3 IP/MPLS와 전송 네트워크 통합 제어
  • 20.2 T-SDN 표준화 동향
  • 20.2.1 ITU-T 표준화 동향
  • 20.2.2 IETF 표준화 동향
  • 20.2.3 ONF 표준화 동향

  • VI부 마무리하며
  • 21장 SDN과 NFV, 그리고 시사점

  • 부록A 국내 SDN/NFV 표준화 현황: TTA WG2201/WG2202
  • A.1 국내 표준화 주요 현황 요약
  • A.2 TTA WG2201
  • A.3 TTA WG2202

  • 부록B 국내 SDN/NFV 연구망 구축 현황: KREONET-S
  • B.1 첨단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소개
  • B.2 소프트웨어 기반의 KREONET-S 구축 현황
  • B.3 KREONET-S의 ONOS 프로젝트 협력과 향후 추진 내용

도서 오류 신고

도서 오류 신고

에이콘출판사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고맙습니다. 도서의 오탈자 정보를 알려주시면 다음 개정판 인쇄 시 반영하겠습니다.

오탈자 정보는 다음과 같이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예시) p.100 아래에서 3행 : '몇일'동안 -> 며칠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