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요약
프로덕트 매니저가 사랑해야 하는 것은 번뜩이는 아이디어, 최첨단 기술, 새로 떠오르는 방법론이 아니다. 자신이 관리하는 프로덕트를 통해 해결해야 하는 문제, 그 문제 자체를 사랑해야 한다고 멜리사 페리는 말한다. 이 책은 프로덕트 매니저로서 문제에 접근하고, 고객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그러면서도 남들의 목소리에 휩쓸리지 않고, 데이터와 실험을 통해 가설을 검증해서 마침내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과정이 총망라되어 있다. 기업마다 다른 업무 방식에 관계 없이 어디에나 적용되는 프로덕트 매니지먼트의 본질을 알려준다.
추천의 글
“기업 전체가 프로덕트에 집중할 때 얼마나 놀라운 결과가 나올 수 있는지 보여주는, 보기 드물고 배짱 있는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지침서다.”
-데이브 핑크(Dave Pinke)/ Practising Law Institute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기능으로 가치를 만들어가야 할 기업이 기능 출시 자체에만 급급해지는 원인은 무엇일까?
■ 확장 가능한 방향으로 프로덕트 조직을 꾸릴 방법은 무엇일까?
■ 프로덕트 계획이 기업의 비전과 경제적 성과에 부합하도록 프로덕트 전략을 수립할 방법은 무엇일까?
■ 반복적인 프로덕트 프레임워크를 통해 적절한 가치 창출 기회를 모색하고 추구할 방법은 무엇일까?
■ 산출물이 아닌 성과에 집중하는 문화를 일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상세 이미지

목차
목차
- 1부. 개발 함정
- 1장. 가치 교환 체계
- 2장. 가치 교환 체계에서의 제약
- 3장. 프로젝트 대 프로덕트 대 서비스
- 4장 프로덕트 중심 조직
- 5장. 우리는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를까?
- **2부.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
- 6장. 나쁜 프로덕트 매니저의 전형
- 7장. 훌륭한 프로덕트 매니저
- 8장. 프로덕트 매니저의 커리어 경로
- 9장. 팀 조직하기
- 3부. 전략
- 10장. 전략이란 무엇일까?
- 11장. 전략의 간극
- 12장. 바람직한 전략 틀 만들기
- 13장. 회사 차원의 비전과 전략적 의도
- 14장. 프로덕트 비전과 포트폴리오
- 4부.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과정
- 15장. 프로덕트 카타
- 16장. 방향 이해하고 성공 지표 설정하기
- 17장. 문제 탐구
- 18장. 해결책 탐구
- 19장. 해결 방안 개발과 최적화
- 5부. 프로덕트 중심 조직
- 20장. 성과지향적 의사소통
- 21장. 보상과 장려책
- 22장. 안전과 학습
- 23장. 예산 정책
- 24장. 고객 중심
- 25장. 마케틀리, 프로덕트 중심 기업으로 거듭나다
- 후기. 개발 함정에서 벗어나 프로덕트 중심 기업으로 거듭나기
- 부록. 프로덕트 중심 기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6개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