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c 22, 2006
즐거운 성탄 연휴 보내세요~!
이맘 때가 되면 늘 신문이나 뉴스의 한 꼭지를 차지하는 기사거리가 하나 있습니다. 과연 올해는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맞을 수 있을까요?마치 소풍을 기다리는 어린아이의 마음인 듯! 눈은 내리지 않는다고 하니 대신 저희 블로그에 새하얀 흰 눈을 뿌려드리겠습니다. 모두 행복한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
-
Dec 22, 2006
2006 에이콘 송년 모임 현장!
2006년 한 해를 마감하며 올 한 해 동안 도움주신 고마운 분들을 모시고 조촐하게 송년모임을 열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에이콘을 사랑해주시고 성원해주신 독자분들을 모시지 못해서 아쉬웠습니다. 언젠가 독자분들도 초대해서 즐거운 자리를 마련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바쁘신 중에 시간내어 와주신 모든 분께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번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 전합니다. 함께 자리하지 못하신 다른 분들께도 인사 드립니다. 올 한 해 정말 감사했습니다. m(_._)m 아래 사진을 넘겨보시면 더 재미있는 장면들을 많~~이 보실 수 있습니다. :) [##_Gallery|3721408074.jpg||3835889252.jpg||1198266669.jpg||3031657096.jpg||8326845032.jpg||5953987801.jpg||9825565068.jpg||5122256390.jpg||4348446403.jpg||9352653535.jpg||7192772619.jpg||8690117331.jpg||5437789154.jpg||5320755980.jpg||4828527103.jpg||1914798607.jpg||2354293515.jpg||3044703122.jpg||3092693327.jpg||7577357693.jpg||8290571290.jpg||7163012538.jpg||8182476762.jpg||5083632019.jpg||3857092789.jpg||6709275581.jpg||5753317508.jpg||2997570365.jpg||4465788722.jpg||2759989996.jpg||6960023710.jpg||5047272081.jpg||9538703409.jpg||2144578696.jpg||2021725594.jpg||width="400" height="300"_##]
-
Dec 19, 2006
『CSS 마스터 전략』드디어 출간!
『고급 웹 표준 사이트 제작을 위한 CSS 마스터 전략』이 드디어 출간되었습니다. 만박닷컴에서 뜨거운 성원 속에 트랙백 이벤트도 열리고 있으니 많이 참여해주세요! 무엇보다도 갑작스런 복잡 미묘한 상황에서도 다들 열심히 노력해서 만든 책이어서 더욱 보람이 큽니다. 감사 인사 말씀 안 전할 수가 없어서 몇 자 덧붙입니다. 늘 훌륭한 동반자가 되어주시는 시리즈에디터이자 역자이신 더블트랙 박수만님 고생 많으셨습니다. 그리고 힘 북돋워주신 사장님 정말 감사합니다. 믿어주시고 용기 주신 사장님 덕분에 저희들이 큰 힘 얻었습니다. 능력 200% 발휘해준 에이콘막내 hjy, 마음 든든하게도 옆을 지켜줘서 고마우이. 쓴소리 들으면서도 열심히 해준 에이콘꼬마 jiae. 늘 표정 한번 찌푸리는 일 없이 궂은 일 마다하지 않는 young. 홍스. 백업해준 Suah씨.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아.. 우리의 정신적 지주 디오이즈 성사장님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 ^^ 그나저나.... 아직 독자들의 평가가 남아있네요. 독자 여러분. 저희 책 많이 사랑해주세요!
-
Dec 16, 2006
[영화 읽기] 어른들을 위한 슬픈 잔혹 동화: 판의 미로
어른들을 위한 슬픈 잔혹 동화.멕시코 출신의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이 스페인 내전을 배경으로 만든 영화 “판의 미로”. 글쎄. 이 말 말고는 이 영화를 간결히 표현할 수 없는 말이 달리 떠오르지 않습니다. "Pan's Labylinth"라는 원제의 영화가 우리 나라에서는 제목이 '오필리아와 세 개의 열쇠'라는 군더더기 같은 부제를 달고 국내에서 개봉했습니다. 게다가 "비밀의 문이 열리는 순간 기이한 판타지의 전설이 깨어난다"라는 환상적인 헤드카피를 달고... 여기에는 마치 "해리포터 연작"이나 "나니아연대기:사자, 마녀 그리고 옷장" 등의 판타지 영화 취향의 관객을 모아서 어떻게든 영화를 팔았어야 하는 홍보 마케팅 회사의 고뇌가 한몫 했을 겁니다. 마찬가지로 책도 출판할 때 부제를 달아 내는 경우가 많은데 아무래도 『구글해킹』이나 『Ajax 인 액션』처럼 한 마디로 표현할 수 있는 책이 있는가 하면 『조엘 온 소프트웨어: 유쾌한 오프라인 블로그』나 『이클립스 RCP: 설계에서 구현, 배포까지 자바 GUI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모든 것』처럼 부제로서 책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거나 대상 독자를 현혹(!)시키고자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대상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이겠죠. 여하튼 몇 년 전 개봉해 평단의 호평을 받았던 “지구를 지켜라”를 영화 상영 초반 홍보사에서 가벼운 코미디물로 둔갑시켜 극장을 찾았던 관객들이 접점을 찾지 못했던 사례와 같은 반응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가벼운 어린이 대상 판타지물인 줄 알고 극장을 찾은 관객은 “판의 미로”에 대해 혹평을 쏟아내고 있거든요. 물론 영화에 대한 평가야 전적으로 상대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그것이 '나쁘다'는 말은 아닙니다. 다시 영화이야기로 돌아가서... 사실 영화 이야기를 쓸 때에는 자신의 호불호보다는 대상에 대한 애정을 견지한 채 통찰하는 글을 써야 한다는 공감가는 어느 영화기자의 블로그 글도 있었지만, 이 글은 전문평론은 아니니 이점은 양해해주시길 바라며.. 스페인 내전의 암울한 현실과 그 현실에 대항하는 저항군의 이야기와, 마치 그에 거울처럼 댓구를 이루는 소녀의 세 가지 미션을 수행해야 하는 모험이 씨줄과 날줄처럼 얽혀 펼쳐집니다. 판타지는 판타지로 존재할 때 그 가치가 있기도 하지만 현실에 교묘하게 접목시켜서 “굳게 땅에 발을 내린” 판타지가 되었을 때 어떤 영화보다도 '현실적'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영화가 결국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것인지 세상에서 더할 수 없이 슬픈 영화로 막을 내리는 것인지는 관객의 몫에 달려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마치 뫼비우스의 띠처럼 맞물려 같은 장면으로 시작하고 끝맺는 이 영화에서 사실 어느 쪽이 진실이고 거짓이었음은 중요하지 않을 것입니다. 소녀가 엄마 뱃속에 있는 자신의 동생에게 들려주는 짧은 이야기는 그래서 쉽게 듣고 지나칠 수 없습니다. 높은 산에 홀로 피어 영원한 생명을 주는 장미가 있었어. 사람들은 이 장미에 돋아 있는 독가시를 두려워하며 아무도 꺾을 생각을 하지 못했지. 힘들다 힘들다 말로는 살기 너무 힘들다는 말만 내뱉으며... 살아갈 방법은 바로 거기에 있었는데 말이지.덧. 결국 이 아름답고 심오한 유럽영화를 “어린이의 눈으로 바라본 슬픈 전쟁의 역사와, 그 어려움을 혈혈히 딛고 이겨 나가는 도전을 다룬 아름답고 슬픈 어른들의 잔혹동화”라고 홍보했다면 과연 지금만큼이라도 관객이 들었을까. 하는 생각에 이르니 사실 홍보대행사의 고충도 이해할만 합니다. 그야말로 딜레마죠. 아, 그렇다고 이 주관적인 글에 이끌려 섣불리 판단을 내리지는 마시고. 기존 영화들과는 달리 컴퓨터그래픽에도 많이 의존하지 않고 직접 수공으로 제작하고, 여타 판타지 영화처럼 이렇다할 원작소설에도 기대지 않고 이렇게 아름답게 자아낸 이 가슴저린 판타지를 직접 확인해보시길. 가끔 나오는 잔혹한 장면은 사실 전쟁의 실상에 비한다면 그렇게 아프지는 않겠지요...
-
Dec 14, 2006
[지상중계] 이클립스 시리즈 에디터 장가가던 날!
에이콘 이클립스 시리즈 에디터이자 『이클립스 RCP』역자인 양석호님이 며칠 전 혼인식을 올렸습니다. 대학 동창인 아리따운 아가씨 정현우님을 신부로 맞아들였습니다. 에이콘 여성 팬들의 포기(?)를 종용하는 멋진 예식이었습니다. 지금쯤 몰디브 어디에선가 세상과 단절하고 꿈같은 신혼여행을 즐기고 있겠지요. 평~생 행복하세요~! ^^ 아래 사진은 사명감(!)을 늘 마음에 담고 사시는 훌륭한 개발자 김형준님의 사진입니다. 어여쁜 두 공주님을 모시고 오셨더군요. (사실 부인님이 정말 미인이셨어요!) 이날 결혼식에서는 성원호님, 박재호님, 이희승님, 최재훈님 몇 분의 에이콘 역자를 만나뵐 수 있었습니다. 안타깝게도 사진에는 담지를 못했네요. -0- 두번째 사진은 드디어 NHN과 어깨를 나란히 한(!) 에이콘 출판사의 사진입니다. (이 문장만 보면 왠지 파격적인 신문 헤드라인 기사 같군요. ㅎㅎ)
-
Dec 12, 2006
『CSS 마스터 전략』저자의 말과 마감 후기
CSS Mastery 한국어판 출간에 붙여... - 앤디 버드『CSS Mastery』 한국어판을 읽고 계시는 여러분께 먼저 "Gomapsupnida"라는 인사를 전합니다. 2005년도에 이 책을 쓸 당시에는 이 책이 한국까지 날아갈 거라는 생각을 하지 못했는데, 여러분께 선보일 수 있다니 너무나 기쁘군요. 웹 표준은 국제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대부분 영어권 개발자들의 관심사였습니다. 최근까지 이런 주제를 다루는 정보가 대부분 영어로 된 블로그나 출판물 위주였다는 게 주된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이 번역되어 독자층을 더 넓힐 수 있고, CSS의 장점을 알게 될 개발자들이 더 많아질 거라는 사실에 흥분된 감정을 감추기 힘드네요. 앞으로도 웹 표준과 관련된 좋은 책들이 모두 한국에 소개되기를 바라며, 이 책이 그 과정에 작은 역할을 하게 되길 희망합니다. 부디 이 책을 재미있게 읽으시기 바라며,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을 부탁합니다.덧붙여, 편집자 한 마디... 뻣뻣하기 그지 없던 흑백의 무미건조한 책이 『웹 2.0을 이끄는 방탄웹』에 이어 독자의 시선을 확 끌어당길 올컬러 책으로 변신합니다. 물론 이 책의 원서가 아마존 탑셀러를 차지한 데에는 겉치장보다는 실속있는 내용 덕분에 높은 점수를 받았겠지만, '에이콘에서 펴낸 책'이라면 "플러스 알파"를 담아야 했기에 이번에도 좋은 책을 만들고자 애썼습니다. 만박님의 "자신을 아끼지 않는" 훌륭한 번역이야 두말할 나위도 없구요. (자신을 아끼지 않는다는 말은 책을 직접 보시면 생생히 느끼실 수 있을 듯) ^^ 에이콘이 웹 표준 책을 처음 펴내기로 마음 먹었던 이후, 1년 하고도 4개월 남짓이라는 길고도 짧은 시간이 흘렀습니다. 아무도 해보려 하지 않았던 시도, 지나고 나서 돌이켜보니 우리가 아니어도 누구라도 했었을 '컬럼부스의 달걀'에 불과한 일일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뿌듯한 마음이 듭니다. 이제 며칠간의 장정을 마치고 닻을 내립니다. 독자여러분,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 (원서보다 페이지가 늘다 보니 원서와 번역서의 색인 페이지를 일일이 바꿔주는 작업이 발목을 붙잡고 있네요.-이건 황언니가 전담을 했는데, 이 글 보고도 적절한 단어 못 고르고 있다고 계속 딴지거네요.. ㅎ 여튼! jrogue님이 일전에 인형 눈붙이기에 빗대셨던 대로 색인 작업은 역시나 힘든 일입니다. 똑똑한 개발자 독자님, 누가 자동화 좀 해주세요~ -0-)